안녕하세요?
행복한 해피똘똘이맘이에요^^
지금은 독립적인 아이가 되기 위한 결정적 시기
아이가 태아나 가장 먼저 엄마와 해야 할일은 '애착'을 다지는 것입니다.
아이가 요구하는 것이 있을 때 엄마는 바로 알아차리고 요구를 들어주려고 노력을 해야 합니다.
항상 일관적인 반응을 해 줄 경우 아이는 엄마의 사랑을 확인하고 신뢰하게 되지요.
두 돌 남짓까지 아이는 엄마와의 애착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엄마에게 이것저것 요구하며 계속 울어댑니다.
이 시기가 지나면 아이들은 슬슬 세상에 홀로서기를 시작합니다.
이 시기부터 아이들의 입에서 끊임없이 나오는 단어는 '나' 입니다.
"내가" "내 것" "나" 라는 단어들이 수시로 나오며 엄마아빠를 괴롭힙니다.
사방에 밥알을 흘리고 묻히면서도 혼자서 밥을 먹으려고 한다거나, 시간이 없어 바쁜 와중에도 옷을 혼자서 입어보려 하며 엄마의 속을 썩입니다.
이 맘때쯤 되면 집이 조용할 날이 없습니다.
초장에 잘 잡아야 한다는 주변 엄마들의 조언에 아이의 기를 꺽으려 신경전을 벌입니다.
수시로 기 싸움이 벌어지고 아이와 실랑이를 하는 날이 많아집니다.
이 시기에 가장 중중요한 것은 '혼내지 않고 기다려 주는 것' 입니다.
자칫 엄마들이 아이의 "내가 할거야!"를 '고집'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 이는 고집이 아닌 '독립서성의 발달'입니다.
아이가 하는 행동이 미숙할지라도 혼자서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기다려 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하는 것보다 어른이 해 주는 것이 훨씬 효율적인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스스로 무언가를 하려고 할 때 그 시도를 꺾게 된다면 아이는 더 이상 도전하려 하지 않을 것입니다.
'내가 하는 건건 다 잘못된거야. 엄마가 해주는 게 맞는거야' 하고 생각하게 되지요.
만3세 이후부터는 아이의 자율성은 더욱더 자랍니다.
'나'에 대한 개념, 즉 자아개념이 발달하게 되면 자율성이 극대화 되지요.
끊임없이 자발적인 행동을 저지당한 아이들은 이 시기에 자율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태도를 보이게 됩니다.
'이렇게 해도 괜찮은 걸까?' '엄마가 해주는 게 안전한 거고 내가 하는 행동은 잘못된 행동 아닐까?' 하는 생각들이 차곡차곡곡 쌓여 아이의 결정력을 저해하지요.
당장은 아이가 말을 잘 듣는 것 같아 키우기 편할지 모르나 시간이 점차 지나면서 무언가 잘못되었음을 깨닫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많은 부모는 아이에게 "너도 다 컸는데 혼자 해야지 , 왜 그러느냐"라며 다그치기 시작합니다.
혼자서 해본 경험이 없는 아이는 이제 무척 당황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호혼자서 하는는 행동을 회피하지요.
애초에 자율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허락해 주었어야 합니다.
독입적인 아이가 되기 위한 부모의 역할
아이가 자율성을 키우고 독립립적인 자세를 가지려면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의 독립성 향상을 위한 부모의 역할을 몇가지 소개합니다.
① 아이의 수준에 맞는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을 많이 할 수 있게 해 주세요
아이는 많은 일을 스스로 하려고 합니다. 그 즈우에는 아아의 수준에 맞는 일도 있고, 아직은 하기 어려운 일도 있을 것입니다.
엄마 아빠의 역할은 아이가 '스스로 행동하여 성공하는 경험'을 많이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고, 아이가 어려워 도움을 요청할 대 '적절한 수준의 도움'을 제시한 후 다시 기다려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성공하게 되면 크게 칭찬해주고, 실패하더라도 다시 도전할 수 있도록 응원해 주는 것도 부모가 반드시 해야 할일 입니다.
② 엄마, 아빠의 성에 차지 않더라도 제지하지 마세요.
아이가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엄마 아빠가 생각하는 기준에 도달하는 것은 무척 어려울 것입니다.
내 아이가 훌륭한 성취를 하길 바라는 마음은 어느 부모나 똑같지요.
하지만 처음부터 높은 성취를 바라며 기준선을 높게 잡지 말아야 합니다.
엄마 아빠의 성에 차지 않더라도 아이가 스스로 해낼 수 있도록 지켜봐 주는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
③ 아이가 하는 자기 주장을 고집이라 새생각하지 말고 , 아이의 선택을 지지해 주세요
"내가 할래!' 하며 떼 쓰듯 이야기 하는 것은 아이의 자율성 발달에 필요한 과정입니다.
아이는 지금 독립심을 키우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를 수행하고 있는 것입니다.
아이가 자기 주장을 강하게 할 때 고집으로 느끼고 꺾으려는 행동보다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선택을 지지해주고 기회를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고집이라 여기고 제지하게 된다면 아이의 자율성은 거기서 성장을 멈출 수도 있습니다.
④ '아이의 독립심'에 대한 엄마 아빠의 생각과 태도를 돌이켜 보세요
아이가 독립적으로 자라길 바라면서도 아이가 스스로 하겠다고 이야기 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엄마 아빠가 많습니다.
아이가 엄마 손을 타지 않고 혼자서 하는 것에 서운하기도 하고, 아이의 자기 주장을 '반항'으로 느낄 수 도 있지요.
말로는 독립적인 아이를 바란다면서 실제로는 순종적이고 의존적인 성향의 아이를 편하게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엄마 아빠가 먼저 양육 태도를 돌아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좋은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0) | 2019.09.04 |
---|---|
매실의 7가지 효능 & 활용법 (0) | 2019.09.02 |
Happy poet 감사한 마음은 우리를 행복케 한다 (0) | 2019.08.31 |
행복한 남편 만드는 아내의 모습 (0) | 2019.08.28 |
오늘의 건강상식 양파효능 33가지 (0) | 2019.08.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