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해피똘똘이맘이에요^^
자식이 꽃길만 걷길 바라는 게 부모의 마음, 하지만 인생에는 가시밭길도 존재하는 법입니다.
그렇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 가시밭길을 잘 활용하면 더 위대한 성공을 향한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누구나 실패를 두려워 합니다.
특히 심리학에서 어떤 일을 할 때마다 거듭 실패하면 나중에는 아무리 노력해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다고 체념하는 '학습된 무기력' 상태가 된다는 이론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웬만하면 실패의 경험을 피해 가는 게 낫다고 여겨 왔습니다.
하지만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속담도 있듯이 더 위대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꼭 거쳐야하는 관문이죠.
성장발달은 새로운 것을 습득하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입니다.
인간은 끊임없이 도전하며 실패와 습득 과정을 통해 성장하고 발전합니다.
실수와 실패를 성장과 발달 과정의 일부로 생각하고 이로부터 배우는 태도를 가져야 더욱 위대한 성공을 할 수 있습니다.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서는 '실패 내성'
누구나 어떤 일에서 실패하고 나면 부끄러움이나 좌절, 우울감 같은 감정에 빠져듭니다.
그러나 '실패 내성'이 있는 사람은 그런 감정 상태에 계속 머물러 있기 보다는 실패한 원인을 분석하고 또 다시 실패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찾게 됩니다.
더 나아가 적극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미래를 내려다 보려고 노력하는데 바로 이런 특성이 실패를 견디는 힘, '실패 내성' 입니다.
실패 내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실패 경험에 의한 건설적인 효과가 커집니다.
실패의 내성성을 키우려면?
실패 내성은 장기간에 걸친 환경과 겨경험험 속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학교생활이나 사회회생활의 적응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특히 어린아이의 실패 내성은 조그만 실패에도 스트레스를 받고 좌절하는 아이로 만들 것인지, 아니면 실패 경험을 건설적으로 활용하는 강인한 아이로 만들 것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중간 난이도의 도전 과제를 줄 것
건설적인 실패 경험의 조건 중 하나는 목표나 과제의 난이도입니다.
성공과 실패의 가능성이 각각 50%인 경우 사람들은 자신의의 능력과 기술을 평가하고 싶은 생각에 그 과제를 완숳수해내려는 의지가 높아집니다.
그리고 자자신의 능력이나 기술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일을 할 때 푹 빠져서 몰입하기 쉬울 뿐 아니라, 몰입해 일하다가 실패하면 그 요인을 찾아보고 계속해 나가고자하는 동기를 얻습니다.
이는 아이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아이의 성장과 발달을 고려해 중간 난이도의 놀이나 학습을 시키면 아이는 자신의 능력을 시험해 가며 스스로 그 과제를 즐기게 됩니다.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게 할 것
어떤 일을 시작할 때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했느냐, 아니면 누군가 시켜서 하게 되느냐에 따라 실패 경험이 건설적일 수도, 학습된 무기력증같이 파괴적일 수도 있습니다.
많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한 경우가 타인이 정해준 목표를 수행하다 실패한 경우보다 긍정적인 잔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부모가 통제적으로 양육할 때보다 자율성을 지지하는 행동을 자주 보이고 자녀와 애착 관계가 잘 이루어질수록 실패 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긍정 마인드 '성장 마인드 셋'을 키워 줄 것
자신의 지능이나 재능 같은 능력을 대하는 태도를 '마인드 셋'이라고 하는데 이는 '고정 마인드 셋'과 '성장 마인드 셋'으로 나뉩니다.
'성장 마인드 셋'을 지닌 사람들의 특성은 열심히 전념을 다해 노력하면 자신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고 믿는 것.
성장 마인드 셋을 갖도록 교육받으며 자란 아이들은 어려운 문제에 부딪힐 때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반면에 '고정 마인드 셋'을 가진 아이들은 어려운 문제에 부딪히는 걸 큰 불행으로 여기며, 자신의 지능이나 똑똑한 정도가 평가 대상이 되리라 생각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육아 #부모 #성공 #실패 #방법 #공감
해커스공무원 기출보카 무료배포 (0) | 2019.09.06 |
---|---|
추석 귀성길 아이와 편안하게 차량 이동하는 방법 (0) | 2019.09.05 |
매실의 7가지 효능 & 활용법 (0) | 2019.09.02 |
독립심을 길러줘요 (0) | 2019.09.02 |
Happy poet 감사한 마음은 우리를 행복케 한다 (0) | 2019.08.3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