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해피똘똘이맘이에요^^
아이에게 언제부터 경제 관념을 가르쳐야 할까요?
장난감 가게 앞에서 값비싼 장난감을 사달라고 떼쓰고, 슈퍼마켓 앞을 지나가면 무조건 간식을 사달라고 조르는 아이를 대할 때 마다 부모는 난감해 집니다.
아이를 잘 키우려면 인생을 주도적으로 살아가도록 발판을 마련해 주는 게 중요합니다.
이 때 경제적 자립은 필수 조건으로 어릴 때부터 올바르게 돈 쓰는 습관, 돈을 아끼고 모으는 습관, 모은 돈을 지혜롭게 관리하는 습관, 그리고 자기 것을 나누는 기부 습관을 가르치는게 좋습니다.
'세 살 버릇 여든 간다'는 속담이 있듯 아이를 행복한 부자로 키우려면 일찍부터 생활 속에서 부자 습관을 키워줘야 합니다.
아이에게 꼭 필요한 부자습관
아이가 어릴 때는 경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으니 처음부터 거창하게 시작하지 말고 좋은 습관을 많이 길러주세요.
그 중 첫번째는 '끈기' 를 길러주는 것입니다.
적은 돈을 꾸준히 저금해서 큰 돈을 만들기 위해서는 끈기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자신이 목표한 바는 반드시 이룬다고 생각하고 과정이 지루하더라도 밀어붙이는 끈기는 아이의 인생을 성공하게 만듭니다.
두번째는 만족을 지연시키는 '자기통제' 습관입니다.
어릴때 부터 만족을 지연하는 습관을 기르면 씀씀이가 커지는 성인이 되어서도 충동구매나 쓸데없는 소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아이가 값비싼 물건을 사달라고 자꾸 조른다면 바로 사주지 말고 일정기간 돈을 모아서 직접 사도록 유도합니다.
그래야 점차 자라면서도 충동적인 지출을 줄일수 있습니다.
이 때 지출에 대한 규칙을 최소화해서 세우되, 규칙이 정해지면 엄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아이가 용돈을 무분별하게 낭비했을 때 부모가 함부로 채워주는 것은 금물, 다음에 받는 기일까지 결핍 상태를 몸소 느껴야 경솔한 의사 결정을 하지 않게 됩니다.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걸 아이에게도 인식시켜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들이 아르바이트 등을 통해 스스로 원하는 돈을 얻고 그에 걸맞는 소비를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록'하는 습관도 중요합닏니다.
일기나 용돈 기입장장, 가계부가 여여기에 속합니다.
일기를 쓸 때도 이것이 왜 필요한지를 알고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기록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지도합니다.
이것이 발전하여 용돈 기입장도 스스로 잘 관리할 수 있고 , 더 나아가 인생을 계획적으로 설계하는 발판이 됩니다.
어릴 때부터 시작하는 경제 교육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만5세 아이는 5달러로 무엇을을 살 수 있는지 판단할 능력이 있고, 만 7~8세 아이는 저축과 투자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으며, 만13~14시가 되면 계좌를 개설해 주식을 고르고 거래할 정도로 경제관념을 깨칠 수 있다고 합니다.
+ 3 간단한 심부름을 시시킬 수 있는 나이. 아이와 어느 정도 의사 소통이 가능할 때에는 저금통을 곁에 두고 심부름을 해서 받은 동전을 스스로 저금통에 넣어 저축하는 교육을 시작합니다.
+ 5세 동전과 지폐의 차이를 알게 되고 돈의 금액도 구분하기 시작합니다. 이런 시기에 장난난감을 통한 마트놀이, 시장놀이 등을 통해 아이에게 돈의 가치를 자연스럽게 가르칠 수 있습니다.
+ 6세 빨래 널고 개기, 자기 방 스스로 정리하기, 식탁 닦기, 신발 정리하기 등 간단한 일은 스스로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아이와 의논해 집안일을 돕고 그 대가로 용돈을 받도록 하면 노동의 가치를 배우게 됩니다.
+ 8세 초등학교에 입학할 무렵엔 용돈 기입장을 쓰게끔 합니다. 아이와 함께 용돈 기입장을 구입한 다음 용돈을 알뜰하게 쓰면 10% 올려주고 , 반대라면 20% 정도 깎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가 사용하던 깨끗한 장난감이나 학용품, 옷 등을 모아 중고용품 가게나 벼룩시장에 팔아 용돈 모을 기회를 얻게 하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에게 꼭 필요한 부자 습관
보통 초등학교 1학년부터는 용돈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5~6세가 되면 돈은 일한 대가로 받는 것이라는 개념을 알게 되고 , 돈으로 물건을 사고파는 방법도 익힙니다.
7세가 되면 가격표를 보면서 자신이 가진 돈으로 그 물건을 살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7세까지는 용돈을 간헐적으로 주어 스스로 사용하게 하고, 8세부터는 정기적으로 용돈을 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돈 사용법을 처음 배우는 시기에는 용돈을 주는 간격은 일주일이 적당합니다.
초등학교 3~4학년이 되면면 주기를 2주 단위로 , 고학년이 되면 한달 단위로 늘리는 것도 괜찮습니다.
연령별 추천 홈 아르바이트
+ 4세 - 수건 개기, 부모님 안마하기 등 + 5세 - 심부름, 수건 개기, 신발 정리, 자기 물건 정리, 식탁 닦기 등
+ 6세 - 화초 물주기, 물고기 밥 주기 등 + 7세 - 엄마 도와 드리기, 동생과과 놀아주기 등
+ 초등학교 저학년 - 구두 닦기, 밥상 차리기, 채소 다듬기, 이불 개기, 학용품 챙기기, 준비물 챙기기 등
#육아 #경제관념 #습관 #돈 #저축 #소비 #경제교육 #부자습관 #부자
건강상식 10계명 (0) | 2019.09.11 |
---|---|
알바생에게는? 알바콜로 바로면접 보면 면접교통비 5,000원!사장님께는? 공고 등록 무제한 무료! (0) | 2019.09.10 |
책과 친해지기 3 (0) | 2019.09.09 |
앱 런칭 기념, 미국인 1:1 화상영어 100분 무료체험 이벤트! (0) | 2019.09.07 |
유아 놀이의 중요성 (0) | 2019.09.06 |
댓글 영역